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react-router-dom
- react
- TypeScript
- Servlet
- 변수
- 자바
- node
- cleancode
- redux
- java
- 코딩테스트
- max-width
- git
- 반응형 페이지
- 프론트엔드
- JS
- @media
- 그럼에도 불구하고
- 코드업
- HTML
- github
- node.js
- 자바문제풀이
- webpack
- coding
- CSS
- 그럼에도불구하고
- JavaScript
- media query
- frontend
- Today
- Total
목록dependencies (3)
그럼에도 불구하고
npm 패키지 매니저와 설치모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pm install, yarn add 명령어는 Node.js 패키지(라이브러리)를 설치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설치 모드는 크게 네 가지입니다. 📌 npm install [패키지명1] [패키지명 2] npm install [패키지명1] [패키지명2] 이 명령어는 '로컬 모드'로 설치합니다. 로컬 모드는 현재 디렉터리의 node_module 디렉터리에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 npm install -g [패키지명 1] [패키지명 2] npm install -g [패키지명1] [패키지명2] -g 옵션은 패키지를 전역(global)에 설치합니다. 전역으로 설치한 패키지는 현재 컴퓨터 내의 모든 프로젝트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npm in..
dependencies와 devDependencies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배포용 라이브러리 ] dependencies에 설치되어 있는 라이브러리의 경우 배포용 라이브러리입니다. 아래의 사진은 예시입니다. 이렇게 설치된 배포용 라이브러리는 npm run build로 빌드를 하면 최종 애플리케이션 코드 안에 포함됩니다. 📌 npm i "내가 설치할 라이브러리" [ 개발용 라이브러리 ] devDependencies에 설치되어 있는 라이브러리의 경우 개발용 라이브러리 입니다. 📌 npm i "내가 설치할 라이브러리" -D 설치 옵션에 -D를 주었다면 해당 라이브러리는 빌드하고 배포할 때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빠지게 됩니다. 따라서, 최종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야 하는 라이브러리는 -D로 설치하면 ..
NPM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인 npm install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NPM 지역 설치 ] NPM 초기화 명령어로 package.json파일을 생성하고 나면 해당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게 됩니다. 이 때 명령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npm install "내가 설치할 라이브러리" --save-prod 그리고 지역 설치 명령어의 경우 명령어 옵션으로 --save-prod를 붙이지 않아도 동일한 효과가 납니다. 또한, install 대신 i를 사용해도 됩니다. # 위 명령어와 동일한 효과 npm i "내가 설치할 라이브러리" [ NPM 지역 설치 경로 ] 위 명령어로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면 해당 프로젝트의 node_modules 라는 폴더가 생깁니다. 그리고 그 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