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oding
- node.js
- node
- HTML
- cleancode
- @media
- frontend
- JavaScript
- 프론트엔드
- redux
- JS
- 그럼에도불구하고
- git
- 코딩테스트
- 코드업
- Servlet
- github
- 그럼에도 불구하고
- 자바문제풀이
- webpack
- max-width
- react-router-dom
- 변수
- react
- 자바
- java
- TypeScript
- media query
- 반응형 페이지
- CSS
- Today
- Total
그럼에도 불구하고
[JavaScript] 프로미스(Promise)란? 본문
프로미스에 대해 알아보자
[ 프로미스 (Promise) ]
프로미스는 비동기 처리를 위한 콜백 패턴은 콜백 헬이나 에러 처리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기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ES6에서 도입되었다.
Promise 생성자 함수를 new 연산자와 함께 호출하면 프로미스(Promise 객체)를 생성한다. ES6에서 도입된 Promise는 호스트 객체가 아닌 ECMAScript 사양에 정의된 표준 빌트인 객체다.
Promise 생성자 함수는 비동기 처리를 수행할 콜백 함수를 인수로 전달받는데 이 콜백 함수는 resolve와 reject 함수를 인수로 전달받는다.
1 2 3 4 5 6 7 8 9 | // 프로미스 생성 const promise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 Promise 함수의 콜백 함수 내부에서 비동기 처리를 수행한다. if (/* 비동기 처리 성공 */) { resolve('result'); } else { /* 비동기 처리 실패 */ reject('failure reason'); } }); | cs |
Promise 생성자 함수가 인수로 전달받은 콜백 함수 내부에서 비동기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비동기 처리가 성공하면 콜백 함수의 인수로 전달받은 resolve 함수를 호출하고, 비동기 처리를 실패하면 reject 함수를 호출한다.
다음은 비동기 함수 get을 프로미스를 사용해 구현해 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 GET 요청을 위한 비동기 함수 const promiseGet = url => {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 {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xhr.open('GET', url); xhr.send(); xhr.onload = () => { if (xhr.status === 200) { // 성공적으로 응답을 전달받으면 resolve 함수를 호출한다. resolve(JSON.parse(xhr.response)); } else { // 에러 처리를 위해 reject 함수를 호출한다. reject(new Error(xhr.status)); } }; }); }; // promiseGet 함수는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promiseGet('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posts/1'); | cs |
비동기 함수인 promiseGet은 함수 내부에서 프로미스를 생성하고 반환한다. 비동기 처리는 Promise 생성자 함수가 인수로 전달받은 콜백 함수 내부에서 수행한다. 만약 비동기 처리가 성공하면 비동기 처리 결과를 resolve 함수에 인수로 전달하면서 호출하고, 비동기 처리가 실패하면 에러를 reject 함수에 인수로 전달하면서 호출한다.
프로미스는 다음과 같이 현재 비동기 처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갖는다.
프로미스의 상태 정보 | 의미 | 상태 변경 조건 |
pending | 비동기 처리가 아직 수행되지 않은 상태 | 프로미스가 생성된 직후 기본 상태 |
fulfilled | 비동기 처리가 수행된 상태(성공) | resolve 함수 호출 |
rejected | 비동기 처리가 수행된 상태(실패) | reject 함수 호출 |
생성된 직후의 프로미스는 기본적으로 pending 상태이다. 이후 비동기 처리가 수행되면 비동기 처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프로미스의 상태가 변경된다.
● 비동기 처리 성공: resolve 함수를 호출해 프로미스를 fulfilled 상태로 변경한다.
● 비동기 처리 실패: reject 함수를 호출해 프로미스를 rejected 상태로 변경한다.
이처럼 프로미스의 상태는 resolve 또는 reject 함수를 호출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fulfilled 또는 rejected 상태를 settled 상태라고 한다. settled 상태는 fulfilled 상태 또는 rejected 상태와 상관없이 pending이 아닌 비동기 처리가 수행된 상태를 말한다.
프로미스는 pending 상태에서 fulfilled 또는 rejected 상태, 즉 settled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일단 settled 상태가 되면 다시 상태를 바꿀 수 없다.
즉, 비동기 처리가 성공하면 프로미스는 pending 상태에서 fulfilled 상태로 변화하며, 비동기 처리가 실패하면 프로미스는 pending 상태에서 rejected 상태로 변화한다.
한마디로 프로미스는 비동기 처리 상태와 처리 결과를 관리하는 객체이다.
[ 프로미스의 후속 처리 메서드 ]
프로미스의 비동기 처리 상태가 변화하면 이에 따른 후속 처리를 해야 한다. 예를 들어, 프로미스가 fulfilled 상태가 되면 프로미스의 처리 결과를 가지고 무언가를 해야 하고, 프로미스가 rejected 상태가 되면 프로미스의 처리 결과(에러)를 가지고 에러 처리를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프로미스는 후속 메서드 then, catch, finally를 제공한다.
프로미스의 비동기 처리 상태가 변화하면 후속 처리 메서드에 인수로 전달한 콜백 함수가 선택적으로 호출된다.
이때 후속 처리 메서드의 콜백 함수에 프로미스의 처리 결과가 인수로 전달된다.
모든 후속 처리 메서드는 프로미스를 반환하며, 비동기로 동작한다. 프로미스의 후속 처리 메서드는 다음과 같다.
[ Promise.prototype.then ]
then 메서드는 두 개의 콜백 함수를 인수로 전달받는다.
● 첫 번째 콜백 함수는 프로미스가 fulfilled 상태(resolve 함수가 호출된 상태)가 되면 호출된다. 이때 콜백 함수는 프로미스의 비동기 처리 결과를 인수로 전달받는다.
● 두 번째 콜백 함수는 프로미스가 rejected 상태(reject 함수가 호출된 상태)가 되면 호출된다. 이때 콜백 함수는 프로미스의 에러를 인수로 전달받는다.
즉. 첫 번째 콜백 함수는 비동기 처리가 성공했을 때 호출되는 성공 처리 콜백 함수이며, 두 번째 콜백 함수는 비동기 처리가 실패했을 때 호출되는 실패 처리 콜백 함수이다.
1 2 3 4 5 6 7 | // fulfilled new Promise(resolve => resolve('fulfilled')) .then(v => console.log(v), e => console.error(e)); // fulfilled // rejected new Promise((_, reject) => reject(new Error('rejected'))) .then(v => console.log(v), e => console.error(e)); // Error: rejected | cs |
then 메서드는 언제나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만약 then 메서드의 콜백 함수가 프로미스를 반환하면 그 프로미스를 그대로 반환하고, 콜백 함수가 프로미스가 아닌 값을 반환하면 그 값을 암묵적으로 resolve 또는 reject 하여 프로미스를 생성해 반환한다.
[ Promise.prototype.catch ]
catch 메서드는 한 개의 콜백 함수를 인수로 전달받는다. catch 메서드의 콜백 함수는 프로미스가 rejected 상태인 경우만 호출된다.
1 2 3 | // rejected new Promise((_, reject) => reject(new Error('rejected'))) .catch(e => console.log(e)); // Error: rejected | cs |
catch 메서드는 then(undefined, onRejected)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따라서 then 메서드와 마찬가지로 언제나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1 2 3 | // rejected new Promise((_, reject) => reject(new Error('rejected'))) .then(undefined, e => console.log(e)); // Error: rejected | cs |
[ Promise.prototype.finally ]
finally 메서드는 한 개의 콜백 함수를 인수로 전달받는다. finally 메서드의 콜백 함수는 프로미스의 성공(fulfilled) 또는 실패(rejected)와 상관없이 무조건 한 번 호출된다. finally 메서드는 프로미스의 상태와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수행해야 할 처리 내용이 있을 때 유용하다.
finally 메서드도 then / catch 메서드와 마찬가지로 언제나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1 2 | new Promise(() => {}) .finally(() => console.log('finally')); // finally | cs |
프로미스로 구현한 비동기 함수 get을 사용해 후속 처리를 구현해 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const promiseGet = url => {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 { const xhr = new XMLHttpRequest(); xhr.open('GET', url); xhr.send(); xhr.onload = () => { if (xhr.status === 200) { // 성공적으로 응답을 전달받으면 resolve 함수를 호출한다. resolve(JSON.parse(xhr.response)); } else { // 에러 처리를 위해 reject 함수를 호출한다. reject(new Error(xhr.status)); } }; }); }; | cs |
[ 프로미스의 에러 처리 ]
프로미스는 에러를 문제없이 처리할 수 있다.
아래의 예제 비동기 함수 get은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비동기 처리 결과에 대한 후속 처리는 프로미스가 제공하는 후속 처리 메서드 then, catch, finally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비동기 처리에서 발생한 에러는 then 메서드의 두 번째 콜백 함수로 처리할 수 있다.
1 2 3 4 5 6 7 | const wrongUrl =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XXX/1'; // 부적절한 URL이 지정되었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한다. promiseGet(wrongUrl).then( res => console.log(res), err => console.error(err) ); // Error: 404 | cs |
비동기 처리에서 발생한 에러는 프로미스의 후속 처리 메서드 catch를 사용해 처리할 수도 있다.
1 2 3 4 5 6 | const wrongUrl =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XXX/1'; // 부적절한 URL이 지정되었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한다. promiseGet(wrongUrl) .then(res => console.log(res)) .catch(err => console.error(err)); // Error: 404 | cs |
catch 메서드를 호출하면 내부적으로 then(undefined, onRejected)을 호출한다. 따라서 위 예제는 내부적으로 다음과 같이 처리된다.
1 2 3 4 5 6 | const wrongUrl =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XXX/1'; // 부적절한 URL이 지정되었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한다. promiseGet(wrongUrl) .then(res => console.log(res)) .then(undefined, err => console.error(err)); // Error: 404 | cs |
단, then 메서드의 두 번째 콜백 함수는 첫 번째 콜백 함수에서 발생한 에러를 캐치하지 못하고 코드가 복잡해져서 가독성이 좋지 않다.
1 2 3 4 | promiseGet('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todos/1').then( res => console.xxx(res), err => console.error(err) ); // 두 번째 콜백 함수는 첫 번째 콜백 함수에서 발생한 에러를 캐치하지 못한다. | cs |
catch 메서드를 모든 then 메서드를 호출한 이후에 호출하면 비동기 처리에서 발생한 에러(rejected 상태)뿐만 아니라 then 메서드 내부에서 발생한 에러까지 모두 캐치할 수 있다.
1 2 3 | promiseGet('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todos/1') .then(res => console.xxx(res)) .catch(err => console.error(err)); // TypeError: console.xxx is not a function | cs |
또한 then 메서드에 두 번째 콜백 함수를 전달하는 것보다 catch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독성이 좋고 명확하다.
따라서 에러 처리는 then 메서드에서 하지 말고 catch 메서드에서 하는 것이 좋다.
[ 프로미스 체이닝 ]
1 2 3 4 5 6 7 8 | const url =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 // id가 1인 post의 userId를 취득 promiseGet(`${url}/posts/1`) // 취득한 post의 userId로 user 정보를 취득 .then(({ userId }) => promiseGet(`${url}/users/${userId}`)) .then(userInfo => console.log(userInfo)) .catch(err => console.error(err)); | cs |
위 예제에서 then -> then -> catch 순서로 후속 처리 메서드를 호출했다. then, catch, finally 후속 처리 메서드는 언제나 프로미스를 반환하므로 연속적으로 호출할 수 있다. 이를 프로미스 체이닝(promise chaining)이라 한다.
후속 처리 메서드의 콜백 함수는 프로미스의 비동기 처리 상태가 변경되면 선택적으로 호출된다. 위 예제에서 후속 처리 메서드의 콜백 함수는 다음과 같이 인수를 전달받으면서 호출된다.
후속 처리 메서드 | 콜백 함수의 인수 | 후속 처리 메서드의 반환값 |
then | promiseGet 함수가 반환한 프로미스가 resolve한 값 (id가 1인 post) | 콜백 함수가 반환한 프로미스 |
then | 첫 번째 then 메서드가 반환한 프로미스가 resolve한 값(post의 userId로 취득한 user 정보) | 콜백 함수가 반환한 값(undefined)을 resolve한 프로미스 |
catch ※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 호출되지 않는다. |
promiseGet 함수 또는 앞선 후속 처리 메서드가 반환한 프로미스가 reject한 값 | 콜백 함수가 반환한 값(undefined)을 resolve한 프로미스 |
이처럼 then, catch, finally 후속 처리 메서드는 콜백 함수가 반환한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만약 후속 처리 메서드의 콜백 함수가 프로미스가 아닌 값을 반환하더라도 그 값을 암묵적으로 resolve 또는 reject 하여 프로미스를 생성해 반환한다.
프로미스는 프로미스 체이닝을 통해 비동기 처리 결과를 전달받아 후속 처리를 하므로 비동기 처리를 위한 콜백 패턴에서 발생하던 콜백 헬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프로미스도 콜백 패턴을 사용하므로 콜백 함수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콜백 패턴은 가독성이 좋지 않다. 이 문제는 ES8에서 도입된 async/await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async/await를 사용하면 프로미스의 후속 처리 메서드 없이 마치 동기 처리처럼 프로미스가 처리 결과를 반환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 const url =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 (async () => { // id가 1인 post의 userId를 취득 const { userId } = await promiseGet(`${url}/posts/1`); // 취득한 post의 userId로 user 정보를 취득 const userInfo = await promiseGet(`${url}/users/${userId}`); console.log(userInfo); })(); | cs |
async/await도 프로미스를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프로미스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async/await는 다음에 다뤄보겠다 :)
[ 프로미스의 정적 메서드 ]
[ Promise.resolve / Promise.reject ]
Promise.resolve와 Promise.reject 메서드는 이미 존재하는 값을 래핑 하여 프로미스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한다.
Promise.resolve 메서드는 인수로 전달받은 값을 resolve 하는 프로미스를 생성한다.
1 2 3 | // 배열을 resolve하는 프로미스를 생성 const resolvedPromise = Promise.resolve([1, 2, 3]); resolvedPromise.then(console.log); // [1, 2, 3] | cs |
Promise.reject 메서드는 인수로 전달받은 값을 reject 하는 프로미스를 생성한다.
1 2 3 | // 에러 객체를 reject하는 프로미스를 생성 const rejectedPromise = Promise.reject(new Error('Error!')); rejectedPromise.catch(console.log); // Error: Error! | cs |
[ Promise.all ]
Promise.all 메서드는 여러 개의 비동기 처리를 모두 병렬 처리할 때 사용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const requestData1 = () =>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1), 3000)); const requestData2 = () =>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2), 2000)); const requestData3 = () =>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3), 1000)); // 세 개의 비동기 처리를 순차적으로 처리 const res = []; requestData1() .then(data => { res.push(data); return requestData2(); }) .then(data => { res.push(data); return requestData3(); }) .then(data => { res.push(data); console.log(res); // [1, 2, 3] ⇒ 약 6초 소요 }) .catch(console.error); | cs |
위 예제는 세 개의 비동기 처리를 순차적으로 처리한다. 즉, 앞선 비동기 처리가 완료하면 다음 비동기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위 예제는 첫 번째 비동기 처리에 3초, 두 번째 비동기 처리에 2초, 세 번째 비동기 처리에 1초가 소요되어 총 6초 이상이 소요된다.
그런데 위 예제의 경우 세 개의 비동기 처리는 서로 의존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수행된다. 즉, 앞선 비동기 처리 결과를 다음 비동기 처리가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위 예제의 경우 세 개의 비동기 처리를 순차적으로 처리할 필요가 없다.
Promise.all 메서드는 여러 개의 비동기 처리를 모두 병렬 처리할 때 사용할 수 있다.
1 2 3 4 5 6 7 | const requestData1 = () =>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1), 3000)); const requestData2 = () =>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2), 2000)); const requestData3 = () =>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3), 1000)); Promise.all([requestData1(), requestData2(), requestData3()]) .then(console.log) // [ 1, 2, 3 ] ⇒ 약 3초 소요 .catch(console.error); | cs |
Promise.all 메서드는 프로미스를 요소로 갖는 배열 등의 이 트러블을 인수로 전달받는다. 그리고 전달받은 모든 프로미스가 모두 fulfilled 상태가 되면 모든 처리 결과를 배열에 저장해 새로운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위 예제의 경우 Promise.all 메서드는 3개의 프로미스를 요소로 갖는 배열을 전달받았다. 각 프로미스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 첫 번째 프로미스는 3초 후에 1을 resolve 한다.
● 두 번째 프로미스는 2초 후에 2를 resolve 한다.
● 세 번째 프로미스는 1초 후에 3을 resolve 한다.
Promise.all 메서드는 인수로 전달받은 배열의 모든 프로미스가 모두 fulfilled 상태가 되면 종료한다. 따라서 Promise.all 메서드가 종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가장 늦게 fulfilled 상태가 되는 프로미스의 처리 시간보다 조금 더 길다. 위 예제의 경우 모든 처리에 걸리는 시간은 가장 늦게 fulfilled 상태가 되는 첫 번째 프로미스의 처리 시간인 3초보다 조금 더 소요된다.
모든 프로미스가 fulfilled 상태가 되면 resolve 된 처리 결과를 모두 배열에 저장해 새로운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이때 첫 번째 프로미스가 가장 나중에 fulfilled 상태가 되어도 Promise.all 메서드는 첫 번째 프로미스가 resolve한 처리 결과부터 차례대로 배열에 저장해 그 배열을 resolve 하는 새로운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즉. 처리 순서가 보장된다.
1 2 3 4 5 6 7 | Promise.all([ new Promise((_, reject) => setTimeout(() => reject(new Error('Error 1')), 3000)), new Promise((_, reject) => setTimeout(() => reject(new Error('Error 2')), 2000)), new Promise((_, reject) => setTimeout(() => reject(new Error('Error 3')), 1000)) ]) .then(console.log) .catch(console.log); // Error: Error 3 | cs |
위 예제의 경우 세 번째 프로미스가 가장 먼저 rejected 상태가 되므로 세 번째 프로미스가 reject 한 에러가 catch 메서드로 전달된다.
Promise.all 메서드는 인수로 전달받은 이 트러블의 요소가 프로미스가 아닌 경우 Promise.resolve 메서드를 통해 프로미스로 래핑 된다.
1 2 3 4 5 6 7 | Promise.all([ 1, // => Promise.resolve(1) 2, // => Promise.resolve(2) 3 // => Promise.resolve(3) ]) .then(console.log) // [1, 2, 3] .catch(console.log); | cs |
[ Promise.race ]
Promise.race 메서드는 Promise.all 메서드와 동일하게 프로미스를 요소로 갖는 배열 등의 이 트러블을 인수로 전달받는다. Promise.race 메서드는 Promise.all 메서드처럼 모든 프로미스가 fulfilled 상태가 되는 것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가장 먼저 fulfilled 상태가 된 프로미스의 처리 결과를 resolve 하는 새로운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1 2 3 4 5 6 7 | Promise.race([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1), 3000)), // 1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2), 2000)), // 2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3), 1000)) // 3 ]) .then(console.log) // 3 .catch(console.log); | cs |
프로미스가 rejected 상태가 되면 Promise.all 메서드와 동일하게 처리된다. 즉, Promise.race 메서드에 전달된 프로미스가 하나라도 rejected 상태가 되면 에러를 reject 하는 새로운 프로미스를 즉시 반환한다.
1 2 3 4 5 6 7 | Promise.race([ new Promise((_, reject) => setTimeout(() => reject(new Error('Error 1')), 3000)), new Promise((_, reject) => setTimeout(() => reject(new Error('Error 2')), 2000)), new Promise((_, reject) => setTimeout(() => reject(new Error('Error 3')), 1000)) ]) .then(console.log) .catch(console.log); // Error: Error 3 | cs |
[ Promise.allSettled ]
Promise.allSettled 메서드는 프로미스를 요소로 갖는 배열 등의 이 트러블을 인수로 전달받는다. 그리고 전달받은 프로미스가 모두 settled 상태(비동기 처리가 수행된 상태, 즉 fulfilled 또는 rejected 상태)가 되면 처리 결과를 배열로 반환한다.
1 2 3 4 5 6 7 8 9 10 | Promise.allSettled([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 => resolve(1), 2000)), new Promise((_, reject) => setTimeout(() => reject(new Error('Error!')), 1000)) ]).then(console.log); /* [ {status: "fulfilled", value: 1}, {status: "rejected", reason: Error: Error! at <anonymous>:3:54} ] */ | cs |
Promise.allSettled 메서드가 반환한 배열에는 fulfilled 또는 rejected 상태와는 상관없이 Promise.allSettled 메서드가 인수로 전달받은 모든 프로미스들의 처리 결과가 모두 담겨 있다. 프로미스의 처리 결과를 나타내는 객체는 다음과 같다.
● 프로미스가 fulfilled 상태인 경우 비동기 처리 상태를 나타내는 status 프로퍼티와 처리 결과를 나타내는 value 프로퍼티를 갖는다.
● 프로미스가 rejected 상태인 경우 비동기 처리 상태를 나타내는 status 프로퍼티와 에러를 나타내는 reason 프로퍼티를 갖는다.
1 2 3 4 5 6 | [ // 프로미스가 fulfilled 상태인 경우 {status: "fulfilled", value: 1}, // 프로미스가 rejected 상태인 경우 {status: "rejected", reason: Error: Error! at <anonymous>:3:60} ] | cs |
REF: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JavaScript > JavaScript bas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importNode()란? (0) | 2023.02.14 |
---|---|
[JavaScript] 모듈 / import / export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2.13 |
[JavaScript] Web Animation API란? (1) | 2023.02.10 |
[JavaScript] 비동기 프로그래밍 (0) | 2023.02.09 |
[JavaScript] REST API란?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