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oding
- git
- react-router-dom
- 코드업
- JS
- 그럼에도불구하고
- java
- webpack
- 코딩테스트
- 그럼에도 불구하고
- media query
- 자바
- 프론트엔드
- cleancode
- HTML
- max-width
- 자바문제풀이
- github
- CSS
- @media
- node.js
- JavaScript
- 변수
- redux
- frontend
- Servlet
- node
- 반응형 페이지
- react
- TypeScript
- Today
- Total
목록array (4)
그럼에도 불구하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dC3S/btsisOg3Qa2/EZ4igFX1s9UP9vFAqRIHLK/img.png)
오늘은 배열에 대한 여러 가지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JavaScript의 배열은 객체다. ] JavaScript의 배열은 객체와 마찬가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확인하고 싶은 값이 정말 배열인지 확인하고 싶을 때는 Array.isArray() 메서드를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위와 같이 array를 arr.length와 같이 비교해서 그 값이 배열인지 확인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배열뿐 만 아니라 문자열의 경우도 length로 비교할 수 있으니 오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2번과 3번의 방법으로 비교하는 방법도 있는데 2번보다는 3번이 가장 확실한 비교 방법입니다. [ Array.length는 배열의 길이를 보장하지 못한다. ] 배열은 내가 원하는 index에 값을 자유롭게 넣..
Set에 대해 알아보자 [ Set ] Set 객체는 중복되지 않는 유일한 값들의 집합이다. Set 객체는 배열과 유사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구분 배열 Set 객체 동일한 값을 중복하여 포함할 수 있다. O X 요소 순서에 의미가 있다. O X 인덱스로 요소에 접근할 수 있다. O X [ Set 객체의 생성 ] Set 객체는 Set 생성자 함수로 생성한다. Set 생성자 함수에 인수를 전달하지 않으면 빈 Set 객체가 생성된다. const set = new Set(); console.log(set); // Set(0) {} Set 생성자 함수는 이터러블을 인수로 전달받아 Set 객체를 생성한다. 이때 이터러블의 중복된 값은 Set, 객체에 요소로 저장되지 않는다. const set1 = new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ogL2i/btrVpnlW7D2/kA7vW8RumgP1kHLWgYSow1/img.png)
배열을 섞을 수 있는 메서드를 만들어보자. 1. 기존 배열 값은 바꾸지 않는다. (복사해서 사용) 2. 메서드를 실행할 때마다 무작위로 섞인다. [ array [ i ], array [randomArray]] = [array [randomArray], array [ i ] ] 피셔 예이츠(Fisher Yates)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재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 작업을 함수로 만든다. ※ 피셔 예이츠 알고리즘 [ array[ i ], array [randomArray]] = [array [randomArray], array [ i ] ] 예를 들어, 5개의 요소 [0, 1, 2, 3, 4]를 가지는 배열을 생각해보자. for문 i에 4, 3, 2, 1, 0 을 대입했을 때 Math*random()은 0 이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PdHu/btrVoHxOmai/yd1HIadrAtQGtWIZ07b7ak/img.png)
배열 오름차순, 내림차순 정렬을 해보자 조건 1. 오름차순, 내림차순 버튼이 있고 버튼을 누르면 userDataList 배열에 있는 객체 값을 보여준다. 2. 오름차순 버튼을 누르면 id가 오름차순 된 순서대로 보여준다. 3. 내림차순 버튼을 누르면 id가 내림차순 된 순서대로 보여준다. 4. 최초에는 id가 오름차순 된 순서대로 보여준다. 오름차순 내림차순 div 태그 안에 오름차순 버튼과 내림차순 버튼을 만들고, 버튼을 누르면 ul태그 안에 li 태그로 객체 값을 출력한다. 결과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리뷰 특별하게 어려운 건 없었는데 sortByAscending과 sortByDescending에서 return 값을 설정하는데 시간이 좀 걸린 것 같다. sort() 메서드에서 s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