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ava
- 그럼에도불구하고
- webpack
- coding
- github
- node
- media query
- 변수
- 그럼에도 불구하고
- CSS
- 프론트엔드
- TypeScript
- max-width
- 코드업
- 자바
- JavaScript
- node.js
- git
- HTML
- 반응형 페이지
- frontend
- 코딩테스트
- react-router-dom
- Servlet
- cleancode
- @media
- react
- 자바문제풀이
- redux
- JS
- Today
- Total
그럼에도 불구하고
[JavaScript] 전역 변수의 문제점 본문
오늘은 전역 변수의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자
전역 변수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지역 변수는 (함수 내부에 선언되었다고 가정) 함수가 호출되면 생성되고 함수가 종료하면 소멸된다.
하지만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와 같다.
즉, 지역 변수에 비해 생명 주기가 길다.
[ 전역 변수의 문제점 ]
1. 암묵적 결합
전역 변수를 선언한 의도는 코드 어디서든 참조하고 할당할 수 있는 변수를 사용하겠다는 뜻이다.
이는 모든 코드가 전역 변수를 참조하고 변경할 수 있는 암묵적 결합(implicit coupling)을 허용한다.
변수의 유효 범위가 크면 클수록 코드의 가독성은 나빠지고 의도치 않게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위험성도 높아진다.
2. 긴 생명 주기
전역 변수는 생명 주기가 길다. 따라서 메모리 리소스도 오랜 기간 소비한다. 또한 전역 변수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시간도 길고 기회도 많다.
하지만 지역 변수는 전역 변수보다 생명 주기가 훨씬 짧다.
크지 않은 함수의 지역 변수는 생존 시간이 극히 짧다. 따라서 지역 변수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시간도 짧고 기회도 적다. 이는 전역 변수보다 상태 변경에 의한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메모리 리소스도 짧은 기간만 소비한다.
3. 스코프 체인 상에서 종점에 존재
전역 변수는 스코프 체인 상에서 종점에 존재한다. 이는 변수를 검색할 때 전역 변수가 가장 마지막에 검색된다는 것을 말한다.
즉, 전역 변수의 검색 속도가 가장 느리다.
스코프란?
4. 네임스페이스 오염
자바스크립트는 하나의 파일이 분리되어 있다 해도 하나의 전역 스코프를 공유한다.
즉, 다른 파일 내에서 동일한 이름으로 명명된 전역 변수나 전역 함수가 같은 스코프 내에 존재할 경우 예상치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전역 변수의 사용을 억제하는 방법 ]
전역 변수의 무분별한 사용은 위험하기 때문에, 전역 변수를 반드시 사용해야 할 이유를 찾지 못한다면 지역 변수를 사용해야 한다. 변수의 스코프는 좁을수록 좁다.
전역 변수를 아예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 아닌, 무분별한 사용을 줄여야 한다는 뜻이다. 명심하자
1. 즉시 실행 함수
함수 정의와 동시에 호출되는 즉시 실행 함수는 단 한 번만 호출된다.
모든 코드를 즉시 실행 함수로 감싸면 모든 변수는 즉시 실행 함수의 지역 변수가 된다.
( function (){
var x = 10; // 즉시 실행 함수의 지역 변수
// 생략
}());
console.log(x); // ReferenceError: x is not defined
이 방법을 사용하면 전역 변수를 생성하지 않으므로 라이브러리 등에 자주 사용된다.
2. 네임스페이스 객체
전역에 네임스페이스(namespace) 역할을 담당할 객체를 생성하고 전역 변수처럼 사용하고 싶은 변수를 프로퍼티로 추가하는 방법이다.
var MYAPP = {}; // 전역 네임스페이스 객체
MYAPP.name = 'Lee';
console.lpg(MYAPP.name) // Lee
이 방법을 사용하면 네임스페이스를 분리해서 식별자 충돌을 방지하는 효과는 있으나 네임스페이스 객체 자체가 전역 변수에 할당된다.
3. 모듈 패턴
모듈 패턴은 클래스를 모방해서 관련이 있는 변수와 함수를 모아 즉시 실행 함수로 감싸 하나의 모듈을 만든다.
모듈 패턴은 자바스크립트의 강력한 기능인 클로저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 클로저 공부 후 다시 확인 )
모듈 패턴의 특징은 전역 변수의 억제는 물론 캡슐화까지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캡슐화(encapsulation)란?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프로퍼티와 프로퍼티를 참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동작인 메서드를 하나로 묶는 것을 말한다.
캡슐화는 객체의 특정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감출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를 정보 은닉(information hiding)이라 한다.
var numCounter = ( function(){
var num = 0;
return {
increase(){
return ++num;
},
decrease(){
return --num;
}
};
}());
console.log(numCounter.num); // undefined
console.log(numCounter.increase()); // 1
console.log(numCounter.increase()); // 2
console.log(numCounter.decrease()); // 1
console.log(numCounter.decrease()); // 0
이론적으로 알아봐서 크게 와닿지는 않지만 전역 변수를 최대한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겠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 와닿을 수 있을 만큼 깊이 있게 공부하고 다시 돌아와서 정리해 보자.
'JavaScript > JavaScript bas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이벤트와 각종 이벤트 처리기 (0) | 2022.12.27 |
---|---|
[JavaScript] 변수 호이스팅 (0) | 2022.12.23 |
[JavaScript] 스코프(scope)란? (0) | 2022.12.21 |
[JavaScript] Immutability와 mutable (0) | 2022.12.19 |
[JavaScript] Pass by Reference / Pass by Value 란? (0) | 2022.12.19 |